본문 바로가기
너도나도 아는 정보함

건강검진 간기능 검사

by Sunny-world 2020. 10. 3.
반응형

간의 기능

1. 흡수된 영양소를 산체의 요구에 맞추어 필요한 물질이나 영양소로 가공 처리하여 몸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나 화합물들을 합성한다.

 

2. 몸에 축척되면 해로운 물질들을 해독합니다.

 

3. 당 대사를 조절하여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4. 담즙을 만들어 배출합니다.

 

5. 체내 호르몬 균형을 유지합니다.

 

6. 인체의 장어선 중에 하나입니다.

 

7. 혈액의 저장고 역할을 하며 비타민 철분 등을 저장합니다.

 

간질환의 원인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각종 대사작용, 제독, 분해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며 모든 해로운 이물질들을 도맡아서 처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독 과정 중에 간세포가 손상되고 쉽고 따라서 알콜성, 바이러스성, 약물성, 독성 간질환 등이 흔히 발생하게 됩니다.

간질환의 증상

간질환의 증상은 만성감염에서 간경변증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이면 간질환이 의심됩니다.

(1) 잇몸 출혈이나 코피가 잘난다

(2) 온몸이 나른하고 피로가 자주 온다

(3) 대변 빛깔이 희고 소변이 진한 갈색이 된다.

(4) 식욕이 없어지고 구역질이 나며 헛배가 부르고 거북하다.

 

질환 AST ALT ALP Bilirubin
간염 증가 증가 증가 증가
간경변 정상 정상 정상 또는 증가 증가
쓸개관폐쇄 정상 정상 증가 증가
간종양 정상 또는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울혈 증가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전격 간부전 증가 증가 증가 증가


임상적 실험 기준 정상수치

검사항목 임상참고치
T.Protein  6.50 - 8.30  g/dL
Albumin 3.60 - 5.00  g/dL
Globulin  2.00 - 3.50  gm/dl
A/G ratio 1.50 - 2.50
검사항목 임상참고치
T.Biliribun 0.20 - 1.20  mg/dL
D.Biliribun 0.00 - 0.50 mg/dL
AST(GOT) 0.00 - 40.00 U/L
ALT(GPT) 0.00 - 45.00 U/L
Alk. Phosphatase 104.00 - 338.00  U/L
r-GTP 0.00 - 38.00 U/L

 

 

1) 총 단백 (total protein)

-혈청 총단백량. 알부민, 글로불린 등의 총합이다. 굴절계, 뷰렛법으로 측정되고, 성인의 경우 정상범위는 6.5~8.0g/dL이다. 간경변 말기, 영양실조, 악액질, 수혈증, 신장증(네프로시스), 단백누출성위장병 등에서는 낮은치를, 탈수증, 다발성골수종에서는 높은치를 나타낸다

 

2) 알부민(albumin)

 

 

3) 글로불린(globulin)

- 단순단백질 중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단백질군을 글로불린이라 총칭한다. 약산성으로 열에 응고되며 순수한 단백질로서 얻어지는 것

 

4) 에이지비(A/G ratio)

- 혈청단백질을 셀룰로오스막 전기영동으로 알부민과 글로불린 단백으로 분획할 때, 알부민 양과 총글로불린 양의 비. 만성염증성 질환, 활동성의 간경변증의 경우에 증가하여 병세를 나타내는 지표

 

5) 빌리루빈(bilirubin)

 

담즙 색소의 하나인 빌리루빈(bilirubin)의 혈장내 농도가 올라가면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누런색을 띠는 황달(jaundice) 증상이 나타난다

 

4)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 GOT,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5)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GPT,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6) ALP(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간수치는 간 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혈액검사상수치를 말한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혈액검사상의 수치는 AST, ALT, γ-GT, ALP, 빌리루빈(bilirubin), 알부민(albumin), 프로틴(protein), PT(prothrombin time) 등이 있다. 대개는 특정한 2가지 효소의 양(AST, ALT)을 말한다. ALT는 주로 간에 들어 있고 AST는 간 이외에 심장, 신장, , 근육 등에도 있다. γ-GT는 간 내의 쓸개관(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쓸개즙(담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주로 증가한다.

 

간세포가 파괴되면 AST, ALT 등이 혈액을 돌아다니게 된다. 대개 건강한 사람도 수명이 다한 세포가 죽고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혈액에는 늘 소량의 AST, ALT가 있기 마련이다. 단 간에 염증이 생기거나 다른 이유로 간세포가 많이 파괴되면 혈액 속에 AST, ALT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혈액검사에서 간수치가 높다는 것은 보통 AST, ALT라고 하는 간효소 수치가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어떤 원인이든 간에 간세포가 손상을 받아 세포막이 파괴돼 효소들이 혈액으로 흘러나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1회 또는 1일의 측정 결과가 현재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고 간수치가 꼭 병의 증세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간이 다소 나쁘더라도 간수치는 정상인 경우가 많다.

 

또 소아, 노인, 임신여성에서의 정상수치(참고치)는 일반 성인과는 다르다. 다만 어떤 원인이든 간세포가 파괴된 것은 분명하기 때문에 원인을 밝히는 것이 좋다. 급성간염, 만성간염,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염, 약인성 간손상, 간경변증, 간암, 전격성 간염, 심근경색 등에서 대개 간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간수치를 가늠할 때 가장 신경 써야 할 것은 바로 만성이다. 만성적으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수치가 지속적으로 정상일 수 있으므로 간수치가 정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심해선 안 된다. 간경변증, 만성 비활동성 간염 등에서는 간수치가 거의 올라가지 않거나 조금 올라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AST, ALT의 정상 수치 범위(참고치)는 대개 0~40 IU/L이다. 이 수치 값은 대략적인 정도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해당 수치만 보고 간질환에 대해 판단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간수치가 높다는 것은 간의 실질손상이 심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이때는 수술을 하지는 않는다. 간이 나쁠 때 수술을 하면 지혈이 잘 안되고 마취를 하면 마취제의 영향이나 수술적 손상으로 간에 무리가 가고 몸이 회복하는데 지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간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보다 원인에 대한 올바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주를 삼가고 휴식을 취하며 영양 상태에 신경을 쓰는 등 간을 충분히 쉬게 해 줘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간건강의 바로미터, 간수치란 무엇인가요? (간 건강백서, 대한간학회, 헬스경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