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
24절기 외 절일
4대명절(설, 한식, 단오, 추석) | 삼복(초복, 중복, 말복)
절기 |
일자 |
내용 |
입춘(立春) |
2월 4일 또는 5일 |
봄의 시작 |
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淸明) |
4월 4일 또는 5일 |
봄 농사준비 |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
농사비가 내림 |
입춘 :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우수 :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경칩 :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고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한난(寒暖)이 반복
청명 : 음력 3월에 드는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청명(淸明)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
곡우 :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절기 |
일자 |
내용 |
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
본격적인 농사 시작 |
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
씨 뿌리기 시작 |
하지(夏至) |
6월 21일 또는 22일 |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서(小暑) |
7월 7일 또는 8일 |
더위의 시작 |
대서(大暑) |
7월 22일 또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함 |
입하 :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소만 :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
망종: 벼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이다. 그러므로 망종 무렵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는 절후
하지 :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로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진다.
소서 :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이 무렵은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여서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난다
대서 :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
절기 |
일자 |
내용 |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
가을의 시작 |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
밤이 길어지는 시기 |
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입추 :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긴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친다.
처서 : 아침저녁으로 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는 계절이기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라고 한다. 이 속담처럼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의 극성도 사라져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한다.
백로 :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
추분 : 추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의식한다. 곧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된다. 추분과 춘분은 모두 밤낮의 길이가 같은 시기지만 기온을 비교해보면 추분이 약 10도 정도가 높다. 이는 여름의 더위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이다.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또 태풍이 부는 때이기도 하다.
한로 :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이다. 한편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
상강 :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의 계절
절기 |
일자 |
내용 |
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
겨울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
얼음이 얼기 시작 |
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
겨울 큰 눈이 옴 |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
겨울 큰 추위 |
입동 :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25도일 때이며, 양력으로는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 음력으로는 10월에 든다.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 후 약 15일,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 전 약 15일에 든다.
소설 :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 농사가 잘 된다고 한다. 대개 소설 즈음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도 추워진다.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 추위를 손돌추위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소설 무렵에는 배를 잘 띄우려 하지 않는다
대설 : 일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절기인 대설은 시기적으로는 음력 11월, 양력으로는 12월 7일이나 8일 무렵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은 255도에 도달한 때
동지 : 24절후의 스물두 번째 절기.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는다.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이는데,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른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冬至告祀)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의 뜻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뜻이어서 이로써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낸다고 믿었다
소한 :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소한(小寒)은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대한 :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
(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소한 지나 대한이 일년 가운데 가장 춥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사정이 달라 소한 무렵이 최고로 춥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다
'너도나도 아는 정보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뚜라미 보일러 에러코드 및 보일러 고장 자가조치방법 (0) | 2020.09.06 |
---|---|
다중이용시설 코로나19 QR코드 체크인 카카오톡 PASS 네이버 (0) | 2020.08.30 |
생활안전행동요령 산행안전사고 (0) | 2020.08.23 |
제로페이 지역사랑상품권 남은잔액 환불하기 (0) | 2020.08.22 |
소매인의 청소년 담배판매 관련 영업정지 면제 (0) | 2020.08.15 |
댓글